의무부사관 정의
의무부사관은 의무대 및 군 병원에 근무하는 부사관으로서 주임원사, 중대 행정 보급관, 사단급 의무대 의무 교육, 의무 물자나 일반 물자, 병 기계, 병실, 기타 의무 행정 등을 수행하는 기능적 요원입니다.
의무부사관과 임무
장병의 건강증진, 질병 예방, 환자후송, 환자치료, 입원 및 퇴원, 재활, 병원 및 야전의무부대 조직 및 편성, 교육 훈련 등의 군 보건사업 등 제반 업무 수행, 분쟁 지역에 대한 의료봉사단 파견 활동 등을 한다.
부사관 정의
부사관이란 군대에서 장교와 병사 사이의 중간 간부 계층(하사·중사·상사·원사의 계급)을 가리킨다. 부사관은 통상 육군의 분대(分隊)와 같은 최소 규모의 집단을 지휘하거나 전투기본교육 보급·정비·행정, 부대관리 등의 숙련된 기술을 요하는 분야에 기술자로 배치되고 있으며, 각급 제대(諸隊)의 지휘관을 보좌하여 후배 부사관 및 병을 관리하는 교량적 역할을 수행한다.
부사관 소개
부사관이란 국가공무원으로 직업군인을 선택하여 지원 합격한 사람 중 소정의 교육을 이수하고 하사로 임관된 사람으로서, 병과별로, 개인의 특기와 적성에 따라 배치되어 4년(여:3년)간 의무복무를 하게 된다. 의무 복무기간 중에는 토요일, 일요일 외출 외박이 가능하며 평일에는 병영생활을 하게 되고 계급은 중사까지 진급하게 된다.
4년(여:3년)의 의무복무기간이 끝나면 본인의 의사에 따라 장기 복무를 신청할 수 있으며 장기 복무를 하게 되면, 그때부터 병영 외에서 생활하게 되며 일반 공무원과 동일하게 출퇴근을 하게 되고 계급은 본인의 노력 여하에 따라 진급하게 된다.
부사관 계급구분
성장(계층)과 도약을 뜻하며 병의 상위계급으로서 장교와 병간 교량적 역할과 승리, 투지 표현 (원사의 ☆은 사병 최고의 경륜을 익힌 완숙된 존재임을 상징) | |
대한민국 군인으로서 나라사랑, 단결, 평화를 의미 |
하사 | 중사 | 상사 | 원사 |